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주식 용어 총 정리

주식 용어 총정리 (초보자가 알아야 할 시리즈 03)

반응형

 

 

1. EPS  Earning Per Share로 주당순이익입니다. 기업의 순이익을 기업이 발행한 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혼자 쓰이기도 하지만 PER 지표를 계산할 때 주로 활용합니다.
 
2. SPS Sales Per Share로 주당 매출액을 말합니다. 매출액이 높다면 성장하고 있는 기업으로 볼 수 있습니다. 
3. BPS Book-value Per Share은 주당순자산입니다. 회사를 청산했을 때 1주당 얼마의 순자산을 주주에게 나눠줄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지표를 주로 봐야 하는 이유는 부채가 많은 기업을 확인하기 위해서 입니다. 부채가 많아 순자산이 마이너스인 회사의 경우에는 BPS가 마이너스입니다. 홀로 쓰이기 보다는 PBR을 위한 전 단계 활용지표로 많이 사용 합니다.
 
4. DPS Dividend Per Share 으로 배당을 위해 할당된 금액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값을 의미 합니다. 
5. 배당성향 기업에게 해당 회계기간 동안 창출한 수익에서 주주에게 배당으로 얼만큼 환원했는지 나타낸 비율입니다.
6. PER Price Earning Ratio은 주가수익률입니다. 현재 주가와 기업의 수익규모를 비교하여 나타낸 지표로 현재 주가가 비싼지 싼지를 가늠할 때 주로 사용하는 지표 입니다.
 
7. PBR Price to Book Ratio은 주가순자산비율입니다. 주가/BPS로 계산합니다. 주당순자산은 그대로인데 주가가 올라간다면 PBR 또한 올라가므로 이는 주당순자산대비 주가가 과대계상 되었다고 평가할 수도 있습니다. 적절한 정도는 산업평균과 기업의 과거실적을 보는 것을 통해 어림잡습니다
8. EV/EBITDA EV; Enterprise Value : 주식 시가 총액과 순부채의 총합을 의미합니다.
EBITDA;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 이자 비용, 법인세, 유무형자산 감가상각비를 반영하기 전의 이익을 말합니다.
9. ROE Return On Equity은 자기자본이익율이라 합니다. 부채를 제외한 기업의 순자산 대비 버는 순이익이 얼마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단순하게 ROE10%인 기업은 1억의 순자산으로 1천만원의 순이익을 벌 수 있는 능력이 있는 회사라 할 수 있습니다.